2014년 2월 8일 토요일

한글날 특집 영상 | EBS 한글날 특집 영상 01~03 - 위대한문자 한글 재발견

한글날 특집 영상 | EBS 한글날 특집 영상 01~03 - 위대한문자 한글 재발견


한글은 1443년 12월 세종에 의해 만들어졌다. 세종(世宗, 1397~1450, 재위 1418~1450)은 정치, 경제, 문학, 천문학까지 당시의 모든 학문에 능통한 왕이었다. 세종은 백성을 위해 자신의 뜻을 펼치기를 원했고, 자신의 백성을 위해 한글을 창제 하였따. 이 부분에 세종의 천재성이 발휘되었다.

한글이 세계 문자와 비교해서 과학적이며 체계적이며 천재성이 있는 문자인 이유는, 발성기관의 모양과 소리를 본 떠 만든 세계 유일의 문자이기 때문이다. 그리고 소리문자이므로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소리를 표현한 것을 말한다.



세계에서 가장 신비한 문자, 위대한 문화유산 한글(네이버 백과)
http://navercast.naver.com/contents.nhn?rid=92&contents_id=2737

세종대왕에 대한 내용 참고(네이버 백과)
http://navercast.naver.com/contents.nhn?rid=77&contents_id=2897



한글날 특집 영상1

"한글이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글자이며, 가장 훌륭한 글자다."
-미국 소설가, 펄 벅

"모든 언어가 꿈꾸는 알파벳, 한글"
-영국 역사학자, 존 맨



오늘날 지구촌엔 약 7,000개의 민족 언어가 있으며, 그중 이중 문자화된 언어는 겨우 40여 개에 불과하다고 한다.
이들 문자 중 창제자와 창제의도가 분명히 밝혀진 것은 한글이 유일하다.
한글의 창제 원리를 담고 있는 [훈민정음 해례본] : http://navercast.naver.com/contents.nhn?rid=92&contents_id=2737
집현전 학자 정인지의 말을 인용하면, "바람소리, 학 울음소리, 닭 울음소리 심지어 개 짖는 소리까지 세상에 적지 못할 소리가 없다."라고한다.

그러나 지금 28자였던 한글이 24자가 됐다.
사라진 네 글자. 아래아, 반시옷, 옛이응, 여린히읗.


한글날 특집 영상2

네 글자의 발음이 다시 살아나면 세상의 모든 언어를 표현할 수 있을까.
그것은 왜 사라졌을까.

단 하루 만에 배울 수 있는 문자, 한글. 글로벌 시대에 문자는 경쟁력이다.
그 중심에 한글이 있다.


한글날 특집 영상2

때로는 소수민족의 발자취가 되어주고, 때로는 세계인의 동시통역기가 되는 한글.
IT강국이 될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문자 한글 !!  위대한 문자, 한글의 비밀을 찾아본다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