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육식물의 종류 및 이름 (사진으로 다육식물이름 찾기)
●다육식물의 특징(정의)
수분이 없는 건조한 사막이나
높은 산에서 장기간 건조에 견딜 수 있도록
지상의 줄기나 잎에 다량의 수분을 저장하는 식물로서,
특히 줄기나 잎이 수분을
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물을 말한다.
선인장과도 분명 다육식물의 한 과에 속하지만
선인장과 자체가 너무 거대한 식물군을
이루고 있기 때문에
다육식물은 선인장과와 별도로 구분해서 취급하고 있다.
다육식물은 식물분류학상으로
약 50과 10,000여종이 있으며,
형태나 생태가 다양한 식물이 대단히 많다.
대표적인 다육식물로는
용설란·알로에류·꿩의비름과·번행초과·코노피툼 등이 있다.
●다육식물의 원산지
선인장과는 원산지가 라틴 아메리카인데 비해,
다육식물은 아프리카 남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대륙 전체,
카나리아 제도, 마다가스칼 섬, 아라비안 반도 남부인도 등이며,
기후적으로 우기와 건기(乾期)가 구별되는 지역이다.
그 다음으로 많이 자생하고 있는 지역으로는
아메리카 남서부, 멕시코에서 중미와 남미서부이다. 〔
생육지〕 일반적으로 온대에서 열대에 걸친
건조지역에 분포하는데 드물게는 한랭지에 서식하는 것도 있다.
사하라사막·중앙아시아·오스트레일리아 등 대사막이나
그 주변에는 그다지 많지 않고 남아프리카공화국과
그 주변, 케냐·소말리아 등 동아프리카 여러 나라에 많다.
또 사막보다도 건조한 고원지대에 많다.
대형다육식물은 산지의 경사면에 듬성듬성
군락을 만드는 것이 많으며,
꿩의비름과의 다육식물은 바위산의 급경사면에 많다.
작은 선인장류를 포함한 그 외의 고도다육식물은
덤불 속 그늘이나 바위의 갈라진 틈에 군락을 이루는 것이 많다.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 : 석류풀과(石榴-科, 蕃杏草科 ; Aizoaceae)
능교 / 노도황파 / 홍대내옥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 : 백합과(百合科 ; Liliaceae)
십이지권 / 만상 / 자보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 : 쇠비름과(Portulacaceae)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 : 박주가리과(Asclepiadaceae)
스타펠리아(캐리언플라워) / 왁스식물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 : 용설란과(龍舌蘭科 ; Agavaceae)
길상천 / 세설 / 취상
천세란 (스네이크 플렌트)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 : 돌나물과(꿩의 비름과; Crassulaceae)
칼랑코에
약록 / 녹탑 / 대형녹탑 / 상아탑 / 기천 / 치아자
●다육식물의 과별 명칭 : 등대풀과(대극과_大戟科; Euphorbiaceae)
홍포도"아메트룸" / 상부련 / 설연 / 칠복신 / 옥접 / 부사
출처 : 다육식물 : 선인장 정원 (http://goo.gl/ErtVEl)
보다 상세한 내용은 링크를 따라가시기 바랍니다.
같은 이미지 비슷한 이미지를 찾아주며,
비슷한 이미지의 웹사이트를 방문하면
다육식물의 이름을 찾을수 있음
https://images.google.co.kr/?gws_rd=ssl
다육식물 이미지로 찾기
찾고자 하는 이미지를 하기의 URL에 업로드하면,같은 이미지 비슷한 이미지를 찾아주며,
비슷한 이미지의 웹사이트를 방문하면
다육식물의 이름을 찾을수 있음
https://images.google.co.kr/?gws_rd=ssl
댓글 없음:
댓글 쓰기